김완판 M사 영업총괄 부사장은 사내에서 `영업의 신`으로 불린다. 빼어난 영업 솜씨로 전설적인 일화를 남기며 부사장 자리까지 승진했다. 그랬던
김 부사장이 은퇴를 앞두고 고민에 빠졌다. 회사를 떠나기 전에 자신이 갖고 있는 영업 비결을 후배들에게 전수하려 했지만 영업환경이 너무 급속도로 변해 자기 방식이 통할지 의문이 들기 시작한 것이다. 김 부사장이 입사할 당시만 해도 M사는 대형 문구점에 불과했다. 개인 소비자들이 주고객인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사업이 전부였다. 그러나 M사는 이제 업계에서 수위를 다투는 MRO(소모성자재 구매대행) 업체로 성장했다. 이처럼 영업 대상이 B2C에서 B2B(기업 간 거래)로 바뀌면서 영업 방식도 변했다. 과거 김 부사장이 같은 종류 연필 한 다스를 하루에 100개씩 팔려고 노력했다면 지금 영업사원들은 청소도구, 전열도구, 배관장치, 안전장비 등 100가지 종류로 구성된 복잡한 MRO 통합솔루션을 기업 1곳에 납품하기 위해 한 달 이상을 돌아다닌다. 김 부사장은 최근 자사에서 일하고 있는 베테랑 영업사원 5명을 눈여겨보고 영업사원 B는 고객사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직원이다. 고객사 CEO 영업사원 C는 조용하고 자신만의 본능에 충실한 타입이다.
영업사원 D는 매우 꼼꼼하고 믿음직한 타입이다. 영업사원 E는 고객사들 사이에 일명 `선생님`으로 김 부사장은 회사 영업조직 미래를 위해 이들 5명 중 누구를 자기 후계자로 추천해야 할까. 영업은 `비즈니스의 꽃`으로 불린다. 영업사원은 흔히 영업이란 전쟁 때 최전선에서 싸우는 병사에 비유된다. 아무리 훌륭한 물건도 글로벌 컨설팅ㆍ리서치업체 CEB(Corporate Executive Board)는 CEB는 가장 전형적인 영업사원 유형인 `관계중심형`에서 평범한 영업사원 대비 복잡한 영업환경에서 두 유형 간 격차는 더욱 심하게 벌어졌다. 솔루션 등 글로벌 베스트셀러
|
||||||||||||||||||
매슈 딕슨 CEB 수석 디렉터(`챌린저
세일` 공저자)는 챌린저형 영업사원에 대해 다음처럼 정의했다. 고객 비즈니스에 특유의 인사이트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당신은 `챌린저`형 영업사원이 뛰어난 이유는 바로 ▶나는 기업 최고경영자(CEO)에게 자주 물어본다. 현재 고객들은 매우 공격적이다. 반면 영업사원은 언제나 너무 방어적이다. 고객이 원하는 대로 5% 할인을 해주고, 제품을 구성하고 영업사원이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고객에게 제품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겠다고 반면 챌린저형은 이렇게 답할 것이다. “당신과 내 관점 차이를 충분히 이해한다. 나는 그러나 당신이 나와 보내는 시간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내가 가져온 데이터를
|
||||||||||||||||||
고객사는 챌린저형에게 바로 관심을 가질
것이다. 그리고 챌린저형 영업사원은 자사 비즈니스 가치를 고객에게 충분히 전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CEO들은 자사 영업조직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변하길 원한다. 고객사에 매우 공격적인 태도를 취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너무 방어적이진 말라는 것이다. 아시아에서도 뛰어난 B2B 영업사원은 주도권 확보에 유독 강했다. -보험처럼 경쟁자가 많은 B2B 영업 분야를 보자. 내가 고객이라면 챌린저형보다 사람 좋은 ▶이탈리아에서 오랜 경력을 가진 의료소모품 분야 영업사원을 만난 적이 있다. 그는 그러나 어느 날 고객들이 이 영업사원을 이 영업사원은
고객 충성도는 회사나 브랜드 영향력, 제품이나 서비스, ―당신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영업 ▶우리는 거래처 숫자나 영업주기, 제품 가격 등을 기준으로 영업환경의 복잡성을 `단순` 또는 `복잡`으로 나눴다. 한 영업사원이 반면 영업사원이 관리하는 우선 영업이 단순한 업무의 연속이라면 차라리 외로운 -당신이 쓴 책 `챌린저 세일`은 복잡한 B2B(기업 간 거래) 영업에 대한 것이다.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영업에서도 ▶B2C에서 챌린저형은 아마 효과적으로 고객 니즈를 파악할 줄 아는 영업사원일 것이다. 애플의 스티브 -일부 문화권에서는 챌린저형 영업사원에 ▶이런 질문을 주로 아시아 -챌린저형 영업사원의 전형적인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이 챌린저형에 가깝지 않을까. 항공산업은 경쟁이 엄청 치열하다. 하지만 그는 ■ He is… 매슈 딕슨(Matthew Dixon)은 글로벌 컨설팅ㆍ리서치업체 CEB(Corporate ![]() 매슈 딕슨 CEB 수석 디렉터는 챌린저형 영업사원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딕슨 CEB 수석 디렉터는 최근 매일경제신문 MBA팀과 인터뷰하면서 “대부분 영업 조직들은 챌린저형 잠재력이 높은 영업사원보다 그는 회사 경영진이 챌린저형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사전에 제거해야 할 싹`으로 오판하기도 한다고 딕슨 수석 디렉터는 “기업이 자신들 영업 역량을 높이기 위해 그는 챌린저형 영업사원은 충분히 육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표 1번, 4번, 7번, 10번 문항에 높은 점수를 딕슨 CEB 수석 디렉터는 2ㆍ3번, 5~7점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