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액세서리 절대강자 데이브 가토 인케이스 회장
`훌륭한 디자인·탁월한 경험` 화두…16년간 애플社 액세서리 만들어 고객 니즈 반영한 제품 내놓으려 회사 벽면 모두 아이디어 노트로 인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를 만드는 회사다. 쉽게 말해 휴대폰이나 MP3, 태블릿PC `껍데기`를 만드는 것이다. 그게 뭐 대수로운
사업이냐고? 10여 년 전만 해도 모두 그렇게 생각했다. 하지만 인케이스는 남들이 우습게 보는 이 분야를 파고들었다. 원래부터 인케이스가 이런 액세서리 디자인ㆍ제조 전문회사는 아니었다. 회사가 생기고 4년이나 디자인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하다가 과감하게 회사 주력 사업을 바꾸는 모험을 했다. 당시만 해도 지금과 같은 명성이 없었던 애플과 제품이 나오기 전부터 긴밀하게 상의하며, 최적 제품을 만들어내는 `프리미엄 파트너` 개념을 도입한 것도 인케이스다. 정확한 매출은 공개하진 않지만 한국에서만 연간 100억원에 가까운 매출을 올리며 승승장구하는 이 업체는 간단하지 않다. 휴대폰 케이스는 몇 천 원짜리 소모품이라는 인식도 인케이스가 바꿔놨다. 인케이스 제품은 수만 원에서 수십만 원대에 이른다. 매일경제신문 MBA팀은 최근 방한한 데이브 가토 인케이스 회장과 단독으로 인터뷰했다. 인케이스는 16년간 충실한 파트너였던 애플의
|
|||||||||
-인케이스는 설립 당시만 해도 디자인
회사였는데, 2001년 애플과 제휴한 것을 시작으로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메이커로 변신했다. ▶1997년 인케이스는 당시 세계 -당시만 해도 모바일 기기가 지금처럼 보편화하지 ▶모빌리티가 결국 시대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과감하게 결단을 내렸다. -최근 우후죽순으로 생긴 경쟁 업체들과는 어떤 차별성을 두고 있나. ▶역시 디자인이다. 인케이스 -혁신이 모바일이 아니라 디자인에서 나왔다는 것인가. ▶혁신은 디자인에서, 혁신을 실험하는 오브제는 모바일 -지난 10여 년간 인케이스의 성공은 사실상 애플 발전사와 함께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애플과 인케이스는 -애플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느낌은 ▶우리가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는 `애플 제품 만들기`가 아니라 기술에 예술을 입히는 것이다. 다만 시장을 확대하는 것에 -지난 16년간 특정 브랜드와 작업한 사례가 애플뿐이었다. 그 범위가 이번에 삼성전자로까지 확대됐는데. ▶삼성전자 성장세는 무서울 정도다. 많은 사람이 삼성 제품을 쓰고 있다. 삼성전자와 이번 계약을 체결한 이유다. 유저들 니즈를 -이 사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어떻게 하면 포착해낼 수 있는지, 또 어떻게 하면 모바일 기기를 더 잘 보호하면서도 -지금까지 이야기한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인케이스가 하는 특별한 활동이나 ▶우리 업무환경의 핵심은 개개인 개성 존중과 업무 자율성이다. 이를 통해 창의적인 생각을 이끌어내 [박인혜 기자 / 사진 = 김호영 기자] |